만성신부전 초기증상과 원인, 반드시 알아야 할 정보
만성신부전은 신장 기능이 서서히 저하되면서 노폐물과 수분을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게 되는 만성질환입니다.
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서 방치하기 쉬우나, 진행되면 심각한 합병증과 함께 투석이나 신장 이식이 필요한 상태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만성신부전의 원인, 증상, 진단, 치료 및 관리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1. 만성신부전이란?
신장은 혈액 속 노폐물과 수분을 걸러 소변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데, 이 기능이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저하된 상태를 만성신부전(CKD, Chronic Kidney Disease)이라고 합니다.
정상 신장 기능(GFR, 사구체 여과율)의 60% 이하로 떨어지면 만성신부전으로 진단합니다.
2. 주요 원인
- 당뇨병: 신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
- 고혈압: 지속적인 혈압 상승으로 신장 손상
- 만성 사구체신염
- 다낭신, 신장 기형 등 유전적 요인
- 반복적인 요로감염, 약물 남용 (진통제, 항생제 등)
특히 생활습관병이 신부전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어, 평소 관리가 중요합니다.
3. 만성신부전 주요 증상
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지만, 진행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- 피로감, 무기력
- 소변량 변화 (과다뇨 또는 감소)
- 부종 (발, 발목, 얼굴)
- 구토, 메스꺼움, 식욕부진
- 피부 가려움증
- 야간빈뇨
- 호흡곤란 (심한 경우)
신장 기능이 30% 이하로 떨어지기 전까지는 자각하기 어려워 정기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이 중요합니다.
4. 진행 단계
단계 | 사구체 여과율 (GFR) | 설명 |
---|---|---|
1단계 | 90 이상 | 정상 또는 경미한 손상 |
2단계 | 60~89 | 기능 저하 시작 |
3단계 | 30~59 | 중등도 신부전 |
4단계 | 15~29 | 중증 신부전 |
5단계 | 15 미만 | 말기 신부전 (투석 또는 이식 필요) |
5. 진단 방법
- 혈액 검사 (크레아티닌, GFR 측정)
- 소변 검사 (단백뇨, 혈뇨 확인)
- 신장 초음파 및 영상 검사
- 혈압, 혈당 수치 확인
정기적인 건강검진에서 소변 단백뇨 이상이 발견되면 반드시 추가 검사가 필요합니다.
6. 치료 및 관리법
① 약물 치료
- 혈압 조절제 (ACEI, ARB 계열)
- 당뇨 조절
- 빈혈 치료제, 인결합제 등
② 식이요법
- 저염식: 나트륨 섭취 제한
- 단백질 조절: 과도한 섭취 금지
- 칼륨, 인 섭취 제한 필요 시
③ 생활습관 관리
- 금연, 절주
- 적절한 운동 (과격한 운동 금지)
- 수분 섭취 조절
④ 말기 신부전 시
- 혈액투석 또는 복막투석
- 신장 이식 고려
마무리하며
만성신부전은 한 번 진행되면 되돌릴 수 없지만, 조기에 발견하고 철저히 관리하면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.
고혈압이나 당뇨병이 있다면 특히 신장 건강을 더 세심하게 챙겨야 하며, 정기적인 검진과 꾸준한 생활습관 개선이 가장 좋은 예방법입니다.
